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월 1,000만원 분배금에도 종소세 피할 수 있다?
    월배당 전략(배당 계산) 2025. 7. 2. 22:05
    728x90
    반응형
    반응형

    요즘 제 블로그에 방문해주시는 분들을 보면, KODEX 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에 대한 관심이 특히 높은 것 같습니다.
    그만큼 월배당과 세금 이슈에 대한 실전적인 궁금증도 많이 갖고 계신 것 같고요.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을 다뤄보려고 합니다.
    바로 "이 ETF에서 받는 월 분배금이 금융종합소득세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직접 계산해보는 내용입니다.

     

    ETF 구조나 기본적인 투자 방식에 대한 정보가 먼저 필요하신 분들은,
    📌 블로그 내 다른 글들(상품 구조 분석, 분배금 흐름 등)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2025.06.20 - [투자 분석(국내주식)] - 월 1.45%, 연 17% 배당, – KODEX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 해부

     

    월 1.45%, 연 17% 배당, – KODEX200 타겟위클리커버드콜 ETF 해부

    예측 불가능한 시장, 매달 현금 흐름이 들어온다면?국내 주식 투자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경험이 있을 겁니다.급락장에서의 패닉 셀링, 테마주 추격 매수 후 손실, 장기 보유했는데도 배당

    infobox9066.tistory.com

     

    이 글에서는 "월 1,000만 원을 받아도 세금이 거의 나오지 않는 구조가 실제로 가능한가?"라는

    실전적인 질문에 대해 구체적인 분배율, 비과세율, 종소세 기준 금액을 바탕으로 정확하게 계산해드립니다.

     

    이 상품은 24년 12월 3일에 상장되어 총 6번 분배금이 지급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그 중 1월은 한달 이상의 분배금이 지급되어 평균을 왜곡하므로 제외하고

    나머지 2월에서 6월까지의 결과를 평균 내보면,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분배금 지급내역(출처:삼성자산운용 FunETF)

     

     

     

    그리고 월 분배금에서 과세표준액을 제외한 것이 비과세 되는 금액이므로

    비과세율을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분배월 분배금액(원) 과세표준액(원) 비과세율 계산 과정 비과세율(100%)
    2월 142 0 (1 - 0 / 142) × 100 = 100 100.00
    3월 140 42 (1 - 42 / 140) × 100 = (1 - 0.3000) × 100 70.00
    4월 132 58 (1 - 58 / 132) × 100 = (1 - 0.4394) × 100 56.06
    5월 139 5 (1 - 5 / 139) × 100 = (1 - 0.0360) × 100 96.40
    6월 150 4 (1 - 4 / 150) × 100 = (1 - 0.0267) × 100 97.33

     

    월 비과세율을 평균낸 결과, 월 평균 비과세율은 약 83.96%로 나타납니다.
    즉, 실제로 과세되는 부분은 16.04%에 불과하다는 의미입니다.

     

    여기까지 보셨다면 한 가지 궁금증이 떠오르실 겁니다.
    "그럼 과세 기준인 연 2,000만 원은 실제로 어느 정도 투자해야 넘어설까?"
    다음 글에서는 이 질문에 답해 보겠습니다.

     

    금융종합소득세의 기준인 연 2000만원을 기준으로 역산해보면 총 투자금이 716,599,306 원입니다.

     

     

    이를 통해서 이 때의 연 분배금과 월 분배금을 추산하면, 약 7억 16백만원의 투자금으로

    세후 연 1억4백 가량, 월 870만원을 비과세로 받으면서 금융종합소득세의 기준을 초과하지 않게 됩니다.

     

     

     

    단, 이 계산은 기타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소득이 없다는 전제 하에 진행된 것입니다.
    또한, 이 수치는 과거 지급된 월 분배율과 비과세율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일 뿐,

    향후에도 동일한 비율로 지급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실제로는 ETF 주가 상승 등으로 인해 분배금이 증가하거나,
    다른 금융상품의 이자·배당 소득이 추가될 수 있기 때문에,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할 가능성도 항상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본인의 모든 금융소득을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철저히 관리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총평 

     

    총 투자금이 7억 원을 넘는다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더욱이 단일 종목에 7억 원을 몰아 투자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고,
    무엇보다 집중 리스크가 크기 때문에 결코 권장되는 방식은 아닙니다.

     

    또한 커버드콜 ETF는 구조상 장기적인 자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품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해당 ETF를 추천하거나 매수를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월 배당을 활용한 은퇴 설계나 생활자금 확보,
    그리고 합법적인 절세 전략에 관심 있는 분들을 위한 정보 제공 차원에서 작성되었습니다.

     

    저 역시 국내 주식 자산은 대부분 이 상품에 비중을 두고 있지만,
    미국 시장에서는 S&P500이나 나스닥 등의 기초지수 ETF를 중심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는 각국 시장의 구조와 과세 방식, 기대 수익률 등을 고려해 스스로 판단한 결과입니다.

     

    하지만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직접 이해하고 납득한 방식으로 투자해야만,
    시장 상황이 바뀌더라도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이어갈 수 있다는 점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2025.06.19 - [투자 리포트(국내주식)] - KODEX200타겟위클리커버드콜 6월 배당금 입금 280만원!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